금융당국 수장·5대 금융지주 회장단 간담회 <br />은행권 사회공헌·상생금융 방안 논의 <br />지난주 금융위원장 코로나 확진으로 한 차례 연기<br /><br /> <br />잠시 뒤 오후 3시에 금융당국 수장들과 금융지주 회장들이 만나 취약계층을 위한 상생금융 지원 방안을 논의합니다. <br /> <br />어떤 배경에서 마련된 자리인지, 어떤 결과물을 기대해볼 수 있는지, 취재기자 연결해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 나연수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한국은행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한 시간 반 정도 남았네요? 오늘 어떤 자리입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오늘 간담회에는 김주현 금융위원장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, 그리고 5대 금융지주 회장단, 그러니까 국민, 신한, 하나, 우리, 농협 금융지주 회장들이 참석합니다. <br /> <br />오후 3시에 은행연합회에서 만나게 되고요. <br /> <br />최근 불거진 은행독과점과 이자 장사 논란과 관련해 은행권의 사회공헌과 상생금융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입니다. <br /> <br />원래 지난주 목요일에 간담회가 예정돼 있었는데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한차례 연기돼 오늘 만나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'간담회'라고는 하지만 은행 이자 장사 논란을 언급한 걸 보니, 은행들이 편안한 마음으로 참석하는 자리는 아닐 것 같은데요. <br /> <br />이렇게 간담회까지 마련된 이유가 있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고금리, 고유가, 고물가 시대에 서민도, 기업도 지갑 닫고 허리띠 조이며 버티는 중인데, 유일하게 호실적을 거두고 있는 곳이 바로 은행권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3분기 5대 시중은행 누적 이자수익이 30조 원을 넘어섰고요. <br /> <br />5대 은행 임직원의 지난해 1인당 평균 연봉은 1억 원이 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은행에 돈 빌리러 가는 서민의 상대적 박탈감이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, 이자 수익을 낸 은행이 서민 고통을 분담해야 한다는 요구가 나오게 된 건데요. <br /> <br />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30일 국무회의, 이어 이틀 뒤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잇따라 강도 높은 비판을 내놓은 게 신호탄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발언들 다시 한 번 들어보시죠. <br /> <br />[윤석열 / 대통령(지난달 30일 국무회의) : 죽도록 일해서 번 돈이 고스란히 대출 원리금 상환에 갖다 바치는 현실에 '마치 은행에 종노릇을 하는 것 같다'며 깊은 한숨을 쉬셨습니다.] <br /> <br />[윤석열 / 대통령(지난 1일) : 우리나라 은행들은 갑질을 많이 합니다. 그건 왜 그러냐 하면 그만큼 우리나라의 은행 과점 상태, 이것도 ... (중략)<br /><br />YTN 나연수 (ysna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1120133149533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